반응형
해외 회사채
국내 기업이 해외에서 발행한 KPurener도 이제야 좀 알 것 같은데, 외국 경 부도 아닌 외국 회사가 발행한 채권에 투자하자고? 아직 국내 투자자들의 해외 채권투자가 활성화되지도 않은 시점에 KP나 선진국 국채가 아닌 해외 회사채에 투자한다는 것이 시기상조라고 생각할 수 있다. 하지만 이미 해외 하이일드 채권펀드 (High Yield Fund) 등을 통해서 많은 국내 투자자들이 해외 회사채에 간접적으로 투자하고 있다. 또한, 해외 회사채의 장기 투자수익률은 다른 투자자산에 비해 높은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기 때문에 관심을 가져 볼 필요가 있다.
미국 하이일드채권 : JPMorgan Global HY summary Market Index Value
이머징 로컬세권 : GBI-EM Broad Traded Index Total Return Index Level Local Currency
달러표시 투자등급 채권 : JULIALL MALL Cumulative Total Return
All 한국 채권 : KIS 종합 채권지수
선진국 국채 : GBI-EM Broad Traded Index Total Return Index Level Local Currency
한국 주식 : KOSPI Index
채권의 매매단위, 액면금액과 매매금액, 장외시장
채권의 액면금액과 매매금액 채권의 액면금액과 매매금액이 어떻게 다른지가 궁금할 수 있다. 채권의 액면금액이란 채권 자체의 권면에 기재된 금액, 즉 채권 자체의 원금을 의
robloxfan-idea.tistory.com
반응형
'자산투자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채권 부도 디폴트 용어 정의 (워크아웃, 법정관리, 자율협약) (0) | 2022.01.05 |
---|---|
외화RP 간단 정리 (외화에도 이자를 준다?) (0) | 2022.01.04 |
해외 비과세 채권 정리! (해외비과세채권, 환차익 비과세) (0) | 2022.01.04 |
해외국채 투자시 위험요소(환율 위험, 디폴트) (0) | 2022.01.04 |
해외채권에 투자를 해야하는 이유(+와타나베 부인) (0) | 2022.01.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