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산투자 공부

채권 신용등급의 정의와 체계

by ㅱ≪⊇⊆≫ㅱ 2021. 12. 27.
반응형

채권 신용등급

 

채권 신용등급

 

은행은 직장인에게 신용대출을 해줄 때, 재직 중인 회사와 연봉, 직급, 은행 과의 거래실적이나 대출이력 및 현황 등 조회 가능한 모든 금융 정보들을 파악하 고 이를 체계화하여 1등급에서 10등급까지 등급을 책정한다. 낮은 숫자 등급일수록 신용이 높기 때문에 대출금리가 낮아지고 높은 숫자의 등급으로 갈수록 신용이 낮다는 의미가 되기 때문에 대출금리가 높아지거나 대출 자체가 거절되기도 한다

기업도 마찬가지이다. 자금이 필요하여 회사채를 발행하고자 할 때, 원리금의 상환 능력이 높을수록 좋은 신용등급을 받게 되어 채권 발행 금리가 낮아지고 상환 능력이 낮은 기업일수록 좋지 않은 신용등급이 부여되어 채권 발행 금리가 높아진다.

 

 

 

 



기업 및 채권의 신용등급은 숫자로 표현되는 개인 신용등급체계와는 다르게 알파벳 ABC로 표현이 되며 +0. - 등의 기호로 다시 구분된다. 처음 신용동 급을 접하는 투자자에게는 이런 부분이 생소하게 느껴질 것이다.

신용평가사에서 기업을 평가할 때에는 각 신용평가사마다 업종별 및 채권 형태별 평가조직을 가지고 이에 따라 정량적 • 정성적 방법을 통해서 평가하여 등급을 부여한다. 

신용등급은 장기 신용등급과 단기 신용등급으로 구분되는데, 이는 해당 채권 의 상환능력을 장기와 단기로 구분하여 따로 평가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전체 적인 맥락은 크게 다르지 않기 때문에 장기 신용등급과 단기 신용등급은 아래 표와 같이 매칭 시킬 수 있다. 다만, 점선으로 장기 신용 등급 A+와 단기 신용등급이 매칭 될 수 있는 것처럼 단기의 채무상환능력이 장기 채무상환능력보다 우수한 경우, 장기 신용등급에 대비하여 한 등급 높게 평가를 받을 수도 있다.

 

 

'자산투자 공부' 카테고리의 글 목록

 

robloxfan-idea.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