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연금 미래가치
물가가 상승하면 미래가치가 하락하게 된다. 오늘 은퇴하는 사람이 발 는 연금 500만 원과 25년 후 은퇴하는 사람이 받는 연금 500만 원은 만 원짜리 500장을 받는 것은 동일하지만 그 가치는 다를 수밖에 없다.
만약 물가가 매년 3%씩 상승한다면 25년 후에는 지금보다 물가가 2배로 뛰게 된다. 따라서 25년 후에 500만원이 있다면 현재의 절반인 250만 원 정도밖에 생활을 할 수 없다. 하지만 물가상승과 관련해서는 다음과 같은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 과거 급성장기와 달리 앞으로는 물가가 급격히 상승할 가능성이 적다.
- 디플레이션이 발생하여 물가가 하락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 매년 급여가 상승하므로 적절한 비율로 연금납입액을 늘려가는 것이 바람직하다.
- 물가상승률보다 높은 연금운용수익률을 달성하기 위해 전문가를 통한 펀드변경, 자산관리 등이 필요하다.
※ 같이보면 좋은 글
[자산투자 공부] - 국민연금과 종신지급형 개인연금을 받다가 일찍 죽으면 남은 연금도 돌려줄까?
[자산투자 공부] - 다양한 채권상품 유형별 정리 (+ 고위험 고수익 채권)
노후대비 상가 월세보다 안전한 평생연금
부동산으로 노후를 준비하는 것은 치명적인 문제가 있다. 그것은 바로 나의 노후생활이 전 세계 경제상황이나 국내 경기에 영향을 받게 된다는 점이다. 상가 월세보다 평생연금 "상가에 투자하
robloxfan-idea.tistory.com
반응형
'자산투자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금 필수조건 + 예금과 적금의 차이 (0) | 2022.01.12 |
---|---|
연금 수령 시기 (연금은 언제부터 받을 수 있을까?) (0) | 2022.01.12 |
노후대비 상가 월세보다 안전한 평생연금 (0) | 2022.01.12 |
국민연금과 종신지급형 개인연금을 받다가 일찍 죽으면 남은 연금도 돌려줄까? (0) | 2022.01.12 |
1억으로 연금만들기(1억원이 있으면 얼마의 연금을 받을 수 있을까?) (0) | 2022.01.12 |
댓글